일반적으로 정출(extrusion)과 압하(intrusion)가 모두 필요한 수직적(vertical) 치아 이동의 경우, 비교적 재발률(recurrence rate)이 적은 ‘정출’을 먼저 시행(제1형)하고, 재발률이 높은 ‘압하’를 나중에 시행(제2형)하는 술식을 구사한다.

이와 달리 제3형 버튼일래스틱스 시스템에서는 이 두 가지 치아이동을 투명교정 장치 한 단계 안에 압축 적용(제1형+제2형)해 정출 이동과 동시에 압하 이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치아이동의 효율성을 높인다. 이 때 정출 셋업 되어 버튼이 부착된 치아와 압하 셋업 되어 버튼이 부착된 장치는 서로가 서로를 당기면서 자신도 움직이는 적극적(또는 상호적) 고정원(aggressive or reciprocal anchorage)이 된다.

여기에서 장치 내 버튼은 제1형에서처럼 정출시킬 치아 근원심에 각각 부착하고 여기에 짧은 일래스틱스를 정출 치아의 버튼에 새총처럼 걸어서(slingshot method) 교정력을 발생시킨다. 이 때 고정원 겸 이동하는 치아에 부착된 버튼들이 교정력 부여(activation)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공간(button moving space)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형성한 공간이 바로 제3형 버튼 베이다. 제3형 버튼 베이의 형태는 이동시킬 치아 부위에 형성하는 제1형 버튼 베이의 형태와 유사한 특징을 갖는다.

(1) 기공 과정의 셋업 모형에서 버튼 베이 마진을 디자인할 때에는 치아 버튼 구조물(레진 접착제 포함)의 가상 테두리로부터 계측해 정출 셋업량과 압하 셋업량을 합한 만큼의 거리를 확보한 위치에 베이 마진을 형성한다.

(2) 임상에서 구강 내 장치의 버튼 베이가 적절히 형성됐는지 알기 위해선, 버튼 부착 치아 절단면 상방에 생기는 유도 공간(guiding space)이 목표 치아의 압하와 정출로 인해 나중에 꽉 채워질 것으로 예상해 계측하면 된다.

장치의 압하력과 일래스틱스의 압하성 탄성력과의 합력으로 ‘버튼 베이 마진(bay margin)’은 치은 방향(gingivally)으로 움직이고, 일래스틱스의 정출성 탄성력의 힘으로 ‘버튼 구조물(button structure)’은 교합면 방향(occlusally)으로 움직여서 상호 근접하게 된다. 결국 장치 장착 시의 유도 공간은, 목표(target) 치아들의 압하 이동량(intrusive dislocation)과 정출 이동량(extrusive dislocation)에 의해 분할 점유된다.

그러므로 제3형 버튼 베이는, 버튼 부착 구조물의 가상 테두리에서 기시(origin)해 유도 공간의 높이만큼의 거리를 유격시킨 위치를 최소한의 버튼 이동 공간(button moving space)으로 확보하도록 형성하면 된다.

* Type (III) - 1

상악 전치부 치열의 수직적 불규칙성(irregularity)을 해소하고 심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치아 이동에 버튼일래스틱스 시스템을 적용한 경우이다. 좌우 중절치는 압하(yellow big arrows)시키고 좌우 측절치는 정출(orange big arrows)시키는 것이 주목적으로서, 중절치 압하는 장치의 압하성 셋업과 일래스틱스의 고정원 강화, 측절치 정출은 일래스틱스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장치 첫 장착 시 생기는 측절치 상방의 유도 공간(guiding space; white bar)은 전치부 치아들의 수직 이동, 즉 압하(yellow small arrow)와 정출(orange small arrow)에 의해 분할 점유될 것이므로 결국 제1형(정출 이동)과 동일한 방식으로 버튼 베이 마진의 적절한 위치를 계측해낼 수 있다. 버튼 베이 형성의 적절성 여부를 알기 위해서는, 유도 공간(guiding space)의 높이(height; white bar)에다 버튼 부착물의 가상 테두리(yellow line)까지의 거리(black bar)를 합한 만큼(grey bar)을 장치의 측절치 절단면(incisal edge) 부위로부터 역산해 도달한 부위에 버튼 베이 마진(blue line)을 형성하면 된다.

#12 부위에 실제로 형성한 베이 마진(red arrow)은 역산으로 추정한 가상 베이 마진(blue line)과 거의 일치하므로 매우 적절히 형성했다고 볼 수 있다.

* Type (III) - 2

Type (III) - 1 증례와 마찬가지로, 상악 전치부 치열의 수직적 불규칙성(irregularity)을 해소하고 심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치아 이동에 버튼일래스틱스 시스템을 적용한 경우다. 좌우 중절치는 압하(yellow big arrows)시키고 좌우 측절치는 정출(orange big arrows)시키는 것이 주목적으로서, 중절치 압하는 장치의 압하성 셋업과 일래스틱스의 고정원 강화, 측절치 정출은 일래스틱스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유도 공간(guiding space)의 높이(height; white bar)에다 버튼 부착물의 가상 테두리(yellow line)까지의 거리(black bar)를 합한 만큼(grey bar)을 장치의 측절치 절단면(incisal edge)부위로부터 역산해 도달한 부위에 버튼 베이 마진(blue line)을 형성하면 된다.

#12 부위에 실제로 형성한 베이 마진(red arrow)은 역산으로 추정한 가상 베이 마진(blue line)보다 폭넓은 버튼 이동 공간(button moving space)을 제공하면서도, 마진이 목표 치아를 적절한 넓이로 피개(adequate covering range)하고 있으므로 의도한 치아 이동에 전혀 무리가 없다.

* Type (III) - 3

상악 우측 중절치(#11)는 압하(yellow big arrows)시키고 상악 좌측 측절치(#22)는 정출(orange big arrows)시키는 것이 주목적으로서, 중절치 압하는 장치의 압하성 셋업과 일래스틱스의 고정원 강화, 측절치 정출은 일래스틱스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유도 공간(guiding space)의 높이(height; white bar)에다 버튼 부착물의 가상 테두리(yellow line)까지의 거리(black bar)를 합한 만큼(grey bar)을 장치의 측절치 절단면(incisal edge)부위로부터 역산해 도달한 부위에 버튼 베이 마진(blue line)을 형성하면 된다.

#22 부위에 실제로 형성한 베이 마진(red arrow)은 역산으로 추정한 가상 베이 마진(blue line)보다 폭넓은 버튼 이동 공간(button moving space)을 제공하는 반면, 마진의 목표 치아 피개 범위(covering range)가 넉넉지 않으나 의도한 치아 이동은 잘 이루어졌다.

저작권자 © 덴탈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