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치아에 통증이 생기면 충치를 바로 떠올린다. 하지만 충치가 아니어도 치통의 원인은 다양하며, 가장 흔한 것이 바로 금이 간 치아로 인한 통증이다. 치아에 금이 생긴 경우 진단도 매우 까다로운데, 육안으로 검사를 해도 확인이 어려워 증상에 기초해 진단하는 경우가 많다. 보통 금이 간 치아의 경우 특별한 치료 없이 경과만 관찰하는 경우가 많지만, 통증이나 불편감이 심한 경우에는 수복치료가 필요하다.

치아 겉면만 금이 간 경우부터 치아뿌리 파절까지 증상 다양

금이 간 치아는 일반적으로 다섯가지로 분류된다. 1)치아의 가장 바깥층을 구성하는 법랑질에만 금이 존재하는 경우 2)치아의 뾰족한 교두 부분이 깨진 경우 3)불완전한 치아의 파절 4)치아가 쪼개진 경우 5)치아뿌리까지 파절된 경우다.

법랑질에만 금이 간 경우는 대부분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다. 치아가 쪼개지거나 뿌리가 부러진 경우에는 치아를 뽑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치료가 꼭 필요한 경우는 치아 일부분이 깨지거나 불완전하게 파절됐을 때다.

하지만 법랑질에만 금이 있는 경우라도, 환자가 불편감을 호소하거나 통증이 있는 경우 수복치료를 진행하게 된다.

음식을 씹을 때, 찬 것을 먹을 때 통증 심해

금이 간 치아는 △윗니와 아랫니 모두 저작 시 큰 힘을 감당하는 어금니 △이전에 치료 받았던 수복물이 있는 치아 △중년 연령층에서 빈번하게 발견된다.

환자가 느끼는 가장 특징적인 증상은 저작 시 통증이며, 찬 것에 불편감을 호소하는 경우도 흔하다.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극이 없어도 극심한 통증을 느끼는 자발통에서부터 반대로 통증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까지 다양한 증상을 보여 진단이 매우 중요하다.

저작 시 통증, 불편감 심하다면 수복치료 필요

치아에 금이 있지만 법랑질에만 존재하여 증상이 없으면 특별한 처치 없이 정기적인 관찰을 한다. 저작 시 통증이나 찬 것에 불편감 등의 자극이 있는 경우에만 통증이 발생한다면 치아를 삭제하고 임시 치아를 장착해 증상 소실 여부를 확인한다.

통증 등의 증상이 소실되었다면 크라운 수복을 진행하고, 증상이 지속된다면 신경 치료를 한 후 크라운 수복한다. 금이 간 치아는 치료 후 얼마나 오래 사용할 수 있을지 정확하게 예측하기는 어렵다.

금이 발생한 부위와 진행 정도, 기간 등에 따라서 어느 정도 예상해 볼 수는 있지만 환자 개개인 교합의 특성, 선호 음식, 저작습관에 따라 결과가 매우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금이 치관부(잇몸 상방에 위치하는 치아 부분)에만 위치한 경우 뿌리 쪽으로 진행된 것보다 비교적 예후가 양호하다. 반면 금이 치관부의 근원심을 가로질러 진행된 경우는 예후가 좋지 않다.

치료 후에도 저작습관 개선 등 지속적인 관리 필요

금이 간 치아를 치료해 통증이 사라졌어도 치아에 존재하는 금 자체가 소실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치료 후에는 질기거나 딱딱한 음식을 즐기는 습관을 개선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강동경희대병원 보존과 임은미 교수

 

저작권자 © 덴탈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